사진, 카메라 정보

ND 필터

김영인 2010. 5. 14. 12:27

  야간에 강이나 바다를 촬영해 보면 물이 안개와 같이 표현되어 색다른 분위기의 사진이 찍히곤 합니다. 야간에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셔터 스피드가 느리게 설정되기 때문에 움직이는 사물의 잔상이 촬영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주간에는 렌즈로 많은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롱셔터를 활용하면 노출이 오버되기 쉽습니다. 그렇게 밝은 낮에 롱셔터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ND 필터를 활용합니다.

 

  오늘은 실제 촬영을 통해 ND 필터의 효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조리개를 고정해 놓고 ND 필터를 장착하면서 셔터 스피드의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필터 장착하지 않은 상태

ND2 장착 후

ND4 장착 후

ND8 장착 후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셔터 스피드는 1/800초였습니다. 먼저 ND2를 장착하자 셔터 스피드는 1/400초로 변했으며 이어서 ND4, ND8을 끼운 상태에서 셔터 스피드는 1/200초, 1/50초로 나타났습니다. ND 뒤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보다 많은 양의 빛이 차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ND 필터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피사체 중 하나인 흐르는 물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촬영은 2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습니다. 먼저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조리개를 F8.0으로 설정하여 촬영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셔터 스피드 모드에서 셔터 스피드를 1초로 고정하여 두 번째 사진을 촬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조리개 우선 모드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필터 장착하지 않은 상태

 ND 2 장착 후

ND 4 장착 후

ND 8 장착 후

 

  야간에 강이나 바다를 촬영해 보면 물이 안개와 같이 표현되어 색다른 분위기의 사진이 찍히곤 합니다. 야간에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셔터 스피드가 느리게 설정되기 때문에 움직이는 사물의 잔상이 촬영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주간에는 렌즈로 많은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롱셔터를 활용하면 노출이 오버되기 쉽습니다. 그렇게 밝은 낮에 롱셔터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ND 필터를 활용합니다.

 

  오늘은 실제 촬영을 통해 ND 필터의 효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조리개를 고정해 놓고 ND 필터를 장착하면서 셔터 스피드의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필터 장착하지 않은 상태

ND2 장착 후

ND4 장착 후

ND8 장착 후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셔터 스피드는 1/800초였습니다. 먼저 ND2를 장착하자 셔터 스피드는 1/400초로 변했으며 이어서 ND4, ND8을 끼운 상태에서 셔터 스피드는 1/200초, 1/50초로 나타났습니다. ND 뒤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보다 많은 양의 빛이 차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ND 필터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피사체 중 하나인 흐르는 물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촬영은 2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습니다. 먼저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조리개를 F8.0으로 설정하여 촬영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셔터 스피드 모드에서 셔터 스피드를 1초로 고정하여 두 번째 사진을 촬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조리개 우선 모드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필터 장착하지 않은 상태

 ND 2 장착 후

ND 4 장착 후

ND 8 장착 후

  처음 필터를 장착하지 않았을 때는 물이 움직이는 순간이 촬영 되었으며 ND 2에서 ND8 까지 사용해 가면서 물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포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에서 셔터 스피드를 1초로 고정하여 촬영하였습니다.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

ND 2 장착 후

ND 4 장착 후

ND 8 장착 후

  촬영에서 사용한 카메라는 최대로 조일 수 있는 조리개 값이 F8.0인 제품이었습니다. ND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초로 설정하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노출 오버가 되어 사진이 하얗게 날아가게 촬영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ND 필터를 활용하여 렌즈도 들어오는 빛을 차단해 줘야 합니다. ND 4 까지는 노출 오버 정도가 심하여 실패된 사진이 촬영되었으며 ND 8을 장착했을 때는 비교적 양호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보급형 카메라들이 최대로 조일 수 있는 조리개 수치가 F8.0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ND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밝은 낮에 셔터 스피드 1초는 비교적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이미지는 ND8을 장착 한 후 셔터 스피드를 1/2초로 설정하여 촬영한 사진입니다.

 

 

  오늘은 사진 촬영을 통해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여주는 ND 필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ND 필터를 활용하여 롱셔터를 이용한 멋진 사진을 촬영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처음 디지탈 카메라를 구입하면, 제품 성능에 충분히 만족하며, 즐거운 마음으로 촬영합니다. 하지만, 디지탈 카메라를 사용하다 보면 이제는 카메라의 단점이 하나 둘씩 눈에 띄기 시작하고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로는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럴때 다른 제조사의 제품이나,  지금보다 상위 기종의 제품에 관심을 갖게되고, 구입을 고려하게 됩니다. 흔한 말로 "뽐뿌"를 받게 되는 것이죠. ^^;  하지만, 새로 제품을 구입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나 사용하던 제품에 대한 애착 등 이런저런 걸림돌이 있게 마련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어느 정도 줄여줄 수 있는 악세사리로 필터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필터는 재질이나 쓰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한데, 자외선을 차단해 푸른 빛이 도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UV필터,  빛의 난반사를 조절할 수 있는 편광필터, 색온도를 조절해 주는 블루 필터, 컬러 밸런스를 조절해 주는 색보정 필터, 광원이 여러 방향으로 갈라져 보이는 크로스 필터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필터 중에서 광량 감소 효과가 있는 ND(Neutral Density)필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D 필터는 ND 2, ND 4, ND 8 등이 있는데, 숫자가 늘어날 수록 광량 감소 효과가 커집니다. ND 2는 현재 광량을 1/2로, ND 8은 현재 광량을 1/8로 줄여주는 것으로, 즉 ND 2필터를 사용했을 때보다, ND 8 필터를 사용하면, 약 3배의 광량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ND 2

                       ND 4

        ND 8

    밝은 렌즈를 사용하면 광량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셔터 스피드가 단축되고 따라서 흔들림 없는 촬영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는데, 일부러 들어오는 빛의 양을 감소 시키는 필터를 사용한다니...조금 의아하게 여겨지기도 합니다. ND 필터는 일상적인 촬영보다 강이나 폭포, 바다 사진을 찍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이유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장시간의 셔터 스피드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강이나 폭포 등 흐르는 물을 촬영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셔터 스피드를 짥게 해 끊어지는 느낌으로 표현해 물이 흐르는 모습을 빠른 셔터 스피드로 그대로 포착해 날카롭게 표현하는 방법과 장시간의 셔터 스피드를 사용해 물이 흐르는 모습을 부드럽게 표현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일 낮에 폭포가 떨어지는 모습을 부드럽게 표현하려면, 긴 셔터 스피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낮이라 광량이 많기 때문에 보통 F8이나 F11조리개를 조여도 노출이 오바되어 원하는 장시간의 셔터 스피드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럴때 ND 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여주어 밝은 실외에서도 장시간의 셔터 스피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ND 필터는 광량만을 감소 시켜주며, 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폭포 외에 바다에서 파도가 치는 모습을 ND 필터를 사용해 저속 셔터로 촬영하면 파도가 구름처럼 보이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ND 필터를 사용하면 밝은 곳에서도 저속 셔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UV 필터의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 외에 렌즈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어 평상 시에도 장착하여 촬영합니다. 하지만, ND 필터의 경우 독특한 분위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촬영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갓 6월로 접어들었지만, 찌는 듯한 날씨가 계속되는 요즘, 가까운 계곡이나 바다로 나가 ND 필터를 사용해 특이한 분위기의 사진을 촬영해 보는 것도 좋은 촬영 공부가 되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