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카메라 정보

콘티뉴어스 AF(Auto Focus)와 싱글 AF

김영인 2010. 5. 14. 12:40

 AF(Auto Focus)란 카메라가 자동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것으로 요즘 출시되는 디지탈 카메라 중 대부분의 제품에서 채용하고 있습니다. AF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제품은 반셔터만 누르면 자동으로 초점을 잡아주므로 상당히 편리합니다.

 

  AF의 작동 원리는 광학적 방식을 사용하는 패시브 방식과 초음파나 적외선 빔을 발사하는 액티브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작동원리는 초점의 정확성과 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요즘 출시되는 고급형 카메라들을 보면 싱글(Single) AF, 콘티뉴어스(Continuous) AF, 매뉴얼(Manual) AF 모드 등을 채용하고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싱글 AF는 반 셔터를 눌러주면 카메라가 초점을 잡는 방식을 말하며, 콘티뉴어스 AF는 반 셔터를 누르지 않은 상태라도 카메라가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모드입니다. 매뉴얼 모드는 수동 조절 방식으로 카메라가 자동으로 초점을 잡아주지 않고 촬영자가 초점 링이나 버튼을 사용해 수동으로 직접 초점을 잡는 방식을 말합니다. 세 가지 모드는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먼저 싱글 AF의 경우, 반 셔터를 눌러 주면 카메라가 간단히 초점을 잡아주므로 보통 스냅 촬영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콘티뉴어스 AF는 동물이나 어린아이 등 움직이는 피사체를 대상으로 할 때 유용하지만, 카메라가 계속 초점 조절을 위해 작동하므로 배터리 소모가 큽니다. 따라서 이 모드를 사용하기 전에 전원이 충분한지 미리 살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조금만 움직여도 계속 초점이 바뀌므로 정지되어 있는 사물을 촬영할 때는 오히려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이 촬영되기 쉽습니다. 기종에 따라 초점 조절을 위한 동작 시 잡음이 심한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매뉴얼 AF는 촬영자가 직접 조절해야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자동 초점 기능인 콘티뉴어스 AF나 싱글 AF와 반대의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검은색과 같이 어두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흰색의 밝은 사물을 찍을 때 카메라의 AF 기능이 제 역할을 못하기도 합니다. 이 때, 사용하면 자동 초점 기능보다 빠른 속도로 초점을 잡을 수 있기도 합니다.

 

'사진, 카메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리의 조명 촬영하기   (0) 2010.05.17
칼라모드   (0) 2010.05.17
조명위치  (0) 2010.05.14
소프트 필터   (0) 2010.05.14
메타 정보   (0) 2010.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