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탈 카메라는 사진 촬영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제공하여 여러 가지 재미를 충족시켜주는 멀티기기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 화상카메라 등 각 디지탈 카메라마다 지원하는 부가 기능은 다양합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되며,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I. 동영상 촬영 디카 살펴보기
동영상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탈 카메라라도 카메라에 따라 지원하는 동영상 성능이 다르므로 구입시 잘 살펴보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은 동영상의 화면 크기를 의미하는 해상도와 1초에 몇 장의 사진이 들어가는지를 의미하는 초당 프레임 수, 그리고 얼마나 오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지, 저장 형식은 어떻게 되는지 등입니다.
- 해상도는?
먼저 해상도는 촬영되는 동영상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160 x 120이나 320 x 240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640 x 480 해상도를 지원하는 기종들도 다수 선보이고 있습니다. 640 x 480은 VGA급으로 불리는 해상도로 일반적인 17인치 모니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1,024 x 760 해상도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320 x 240의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는데, 여러분이 보고 계시는 디시인사이드 인터넷 방송이 320 x 240의 크기입니다. 640 x 480 해상도의 동영상은 2000년도에 산요의 iDshot IDC-1000 에서 처음 선 보였으나 최근에 와서 일반화되었습니다. 산요의 VPC-MZ3나 후지필름의 파인픽스 M603 등이 640 x 480 해상도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제품들입니다.
- 프레임수?
동영상에도 화질의 좋고 나쁨이 있음은 당연한 것입니다. 물론 정지화상과 마찬가지로 화면이 얼마나 선명하고 색감이 잘 표현되는지가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살펴보아야 할 것이 초당 프레임 수 입니다. 동영상은 여러 장의 이미지가 순간적으로 조금씩 바뀌면서 빠르게 넘어가는 것으로 1초에 몇 장의 사진이 삽입되어 움직이는지에 따라 움직임의 거칠고 부드러움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영화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이 초당 24장이며 TV에서는 30장입니다. 사람의 눈으로는 30장까지 구분이 가능합니다. 디지탈 카메라에는 30프레임, 15프레임, 10프레임이 가장 많은데 초당 프레임을 많이 지원하는 제품일수록 움직임이 깔끔한 동영상을 보여줍니다.
- 촬영시간?
동영상 촬영에는 카메라의 내부 메모리(버퍼 메모리)가 사용되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촬영 가능시간이 바뀌게 됩니다. 보통 디지탈 카메라에서는 1분에서 3분 사이의 연속 촬영이 가능한 제품들이 가장 많으며, 일부 제품들은 메모리가 가득 찰 때까지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여 90분 이상의 장시간 동영상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장시간 동영상 촬영은 주로 소니 디지탈 카메라에서 많이 지원되며 산요나 후지필름의 제품 중에도 메모리가 가득 찰 때까지 연속촬영이 가능한 모델들이 있습니다.
- 음성포함?
위에 언급한 해상도나 프레임 수, 촬영 가능시간 외에도 동영상 촬영 시 음성포함 여부나 줌 기능의 사용 가능 여부 등도 대단히 중요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특히 동영상을 촬영했을 때 음성이 포함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커다란 차이를 보입니다. 아무리 장시간 동영상 촬영을 지원한다고 해도 음성이 포함되지 않으면 대단히 지루한 화면이 되기 쉽습니다. 이는 편집 과정에서 배경음악을 삽입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도 있겠지만, 동영상 기능을 주로 이용하려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음성이 포함된 제품을 구입하도록 합니다. 또한 자체적으로 스피커가 내장되어 촬영한 동영상을 음성과 함께 재생할 수 있다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저장방식?
마지막으로 촬영한 동영상이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는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AVI, MOV 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동영상 압축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카메라 강좌 '동영상 압축방식'을 참고해주세요.
원하는 기능의 디지탈 카메라를 구입했다면, 이제 멋지게 촬영하고 뽐내는 일만 남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동영상 촬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강좌에서 동영상 기능이 포함된 디지탈 카메라의 선택 방법과 성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디지탈 카메라의 동영상 기능 이용과 활용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동영상 활용은 강좌에서 디시에서도 여러 번 다뤄왔습니다만, 오늘은 지금까지의 내용을 총정리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동영상 촬영하기
디지탈 카메라의 동영상 촬영은 일반 스틸 사진 촬영과 동일합니다. 동영상은 스틸 사진에 비해 용량이 커서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동영상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넉넉한 메모리를 준비하도록 합니다.
1. 일반적으로 동영상 모드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아이콘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동영상 촬영을 위해 모드 다이얼이나 메뉴 버튼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동영상 모드로 설정합니다.
2. 촬영하기 전 동영상 기능의 세부사항을 설정합니다. 동영상의 기능은 보통 메뉴 화면이나 조작 버튼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촬영하고자 하는 해상도 즉, 640 x 480 / 320 x 240 / 160 x 120 등의 촬영할 화면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동영상 모드시 대부분의 설정 기능은 자동이지만, 화이트 밸런스나 노출 등의 메뉴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종도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기능을 설정합니다.
3. 셔터 버튼을 눌러 동영상을 촬영합니다. 셔터 버튼을 누르면 액정 모니터에 촬영표시와 함께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고, 다시 셔터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 촬영이 정지됩니다. 카메라마다 한 번에 촬영되는 시간이 다르므로 자신의 카메라 성능을 살펴봅니다.
4. 동영상은 주제를 정하고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작정 카메라를 돌리기 보다 주제를 생각하고 차후에 완성될 모습을 머리 속에 그리면서 촬영을 하게되면 좀 더 재미있고 의미있는 화면을 담을 수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아기의 커가는 모습이나 즐거운 시간들을 촬영하고, 차후에 주제별로 한 화면에 묶어놓으면 훌륭한 작품하나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영상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서는 간단한 편집과정이 필요한데, 최근에는 자르고 붙이는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많이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동영상을 편집 할 수 있습니다. 또 동영상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경우 편집 소프트웨어를 함께 제공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5. 특정 인물이나 피사체를 부각시키기 위해 줌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카메라에 따라서는 줌 기능을 지원하나 동영상 모드시에는 사용할 수도 없으니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촬영된 동영상은 재생모드에서 확인합니다. 촬영된 화면의 재생이나 정지는 카메라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 내에 스피커가 부착되어 있으면 재생시 음성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동영상에 음성 기능은 지원하나 카메라 내에 스피커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면 카메라에서 재생될 때는 움직이는 영상만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로 전송한 후에야 음성 확인이 가능한 모델도 있습니다.
◆ 동영상 활용하기
카메라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동영상을 내 컴퓨터로 전송시키면 촬영된 화면을 컴퓨터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디지탈 카메라의 동영상은 AVI나 MOV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부분 용량이 커서 인터넷에 올리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때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때 파일을 ASF, WMV 파일로 변환하면 간편한 감상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이전 강좌에서 소개해 드렸던 파일 변환 방법입니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파일을 변환 후 음성이나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합코덱을 다운 받아 설치해 보기 바랍니다.
- MOV -> AVI 파일변환하기 (퀵타임 플레이어 이용)
- MOV -> AVI 파일변환하기 (SmartVid 이용)
일반 사진과 마찬가지로 촬영된 동영상 화면은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습니다. TV 화면에 보여지는 영상을 비디오 테잎에 녹화하여 보관해 두는 것도 좋겠지요?
움직이는 영상은 정지된 화면에 비해 그 당시 분위기나 상황을 좀 더 현실감있게 담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촬영된 화면에 타이틀이나 자막효과, 음악 등을 삽입한다면 보는 이에게 자신이 의도한 바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면을 자르고 붙이는 등의 간단한 동영상 편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스로 이용할 재미있는 동영상, 많이 촬영해 두세요
'사진, 카메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사 모드 활용하기 (0) | 2010.05.18 |
---|---|
광각 렌즈 활용하기 (0) | 2010.05.18 |
적목 현상 보정하기 (0) | 2010.05.18 |
효과적으로 노이즈 제거하기 (0) | 2010.05.18 |
장면 모드 (0) | 201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