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카메라 정보

출사시 촬영현장 팁

김영인 2010. 5. 5. 09:28

 

가. 야생화(野生花)

ㅇ 야생 꽃은 PL필터를 사용하고 조리개를 F 4 이하로 개방하여 역광 촬영하면 주제가 선명하게 부각된다.
ㅇ 큰 꽃은 Amber 필터로 푸른 기미를 제거하고 심도내 설정하면 초점 이 잘 맞는다.
ㅇ 노출은 주제보다 배경이 밝으면 + , 배경이 어두우면 - 보정 한다.
ㅇ 작은 꽃 접사에 정 역광은 색채가 변질되므로 30도 역광으로 하고 TTL 노출은 황색 꽃은 + 0.5 단 보정하고 적자색 꽃은 - 0.5 단 보정 한다.

나. 일출(日出),여명, 낙조(落照), 노을

ㅇ 포구의 배, 갈매기, 일출, 낙조는 푸른색 LB(C4) 필터를 사용하여 물색을 자연스럽게 표현시키며 노출은 태양옆 하늘에 맞추고 조리개 F 11 이상 조이고 노출계 지시대로 촬영하면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ㅇ 태양이 조금 올라와 노란색으로 변할 때는 빛이 강하므로 흑색 다단계 계조 필터로 강한 빛을 차단하면 색을 보정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태양이 강렬할 때는 계조필터로도 색보정을 기대할 수 없다.
ㅇ 태양이 상당히 올라오면 태양 색이 희게 나타나므로 크로스 필타를 사용하여 방사선(放射線)광(光)을 만드는 것도 좋다.
ㅇ 저녁 노을의 붉은 색을 강조하려면 황갈색 Amber 필터를 사용하고 조리개를 조이며 노출을 태양 옆 노을에 맞추어 촬영하면 좋다.
ㅇ 그러나 Amber나 LB필터 사용은 자연색을 과장 또는 변형시키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다.

다. 산림, 계곡의 안개

ㅇ 산림, 계곡 등 산하에 이슬비, 안개 등이 피어오르는 장면을 아침의 사광으로 조리개를 조이고 노출을 + 0.3 보정 하거나 - 0.3 under로 하여 가라앉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ㅇ 햇빛이 있는 계곡사진은 노출을 - 1단 under로 하면 은근함을 표현한다.

라. 파도(波濤),폭포(瀑布)의 물방울 등 물사진 역광(逆光)

ㅇ 망원렌즈를 사용하여 노출은 - 1 ~ 2단 under로 하고 셔터를 1/500 ~ 1/1,000로 하면 빛이 어두우면서 물방울이 영롱하며 파도와 하늘, 주제인 반사체가 돋보인다.

마. 물 흐름
ㅇ 물 속의 이끼, 금붕어 등 물 속을 그대로 나타내려면 PL을 돌려 빛이 어두울 때 찍으면 물 속이 투명하게되어 선명하게 잘 표현된다. 때로는 모래알처럼 작은 수많은 반짝이는 반사체를 표현하려면 PL를 돌려 빛이 반사될 때 찍는다.
ㅇ 셔서속도는 1/250초 이상 빠르게 해야 표면의 물 흐름 얼룩이 없어져 투명하다. 撮影은 수직으로 하고 초점을 정확히 맞춘다.

바. 석물이나 빛이 강한 물체
ㅇ 조리개를 열고 노출을 - 1단 이상 보정 하면 질감이 좋고 back out 되어 주제가 부각된다.(석물의 빛이 강할 때는 - 2 under)

사. 흐린 날 의외로 좋은 사진을 만든다.
ㅇ 정오, 그늘, 구름 낀 날, 비오는 날 낮은 캘빈도가 낮아 청색이 강하므로 황갈색Amber(81A/W4필터)또는 마젠타 필터를 사용하면 청미를 제거한다.
ㅇ 흐린 날은 빛이 약하므로 평면사진이 되기 쉽다. 빛의 방향을 찾아 주위의 명암을 잘 살펴 촬영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
ㅇ 흐린 날은 고른 확산광으로 인물 사진은 부드럽고 풍부한 표정을 얻을 수 있다.
ㅇ 흐린 날은 하늘을 가급적 적게 하고 옆으로 뻗은 나무 가지로 하늘을 덥도록 프레밍하면 다이내믹한 구도가 될 수 있다.
ㅇ 흐린 날 하늘은 광량이 많기 때문에 하늘을 넣을 때는 전경이 노출 부족 되지 않도록 전경에 노출을 재거나 그레이 카드로 측정한다.

아. 폭풍우(暴風雨)가 몰아치는 악천후(惡天候)

ㅇ 폭풍(暴風)전의 하늘은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어 드라마틱한 장면이다.
ㅇ 폭풍(暴風)이 이는 바다는 바위에 부딪친 파도와 해변의 음산함이 어우러져 걸작(傑作)품을 얻는다.
ㅇ 노출은 노출계에 나타난 대로 주면 된다.

자.비오는 날의 전원(田園)
ㅇ 비가 오면 마른 구조물들은 하이라이트가 弱化되고 비에 젖은 피사체는 확산광이 부드럽게 반사되어 질감(質感)이 매우 좋다.
ㅇ 비오는 날이나 흐린 날에도 빛의 방향(方向)이 있으므로 빛의 방향에 피사체를 대조하여 역광(逆光), 사광(斜光), 순광(順光)을 잘 택해야 한다.
ㅇ 노출은 보정 할 필요 없으나 조리개를 약간 열어 심도를 얕게 하면 서정적이다.
ㅇ 렌즈는 표준시각이 효과적이며 물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물의 질감을 살리는 방향에서 배경과 조화롭게 구도를 잡는다.

차. 눈 내리는 날의 전원(田園)

ㅇ 눈오는 날에 촬영은 매우 어렵다. 눈의 입자가 피사체를 투과하는 광량을 줄여 시각적으로 보는 것만큼 표현해 주지 못하므로 눈이 쌓인 나무 잎의 반짝임 등 찬란한 설경은 현상해보면 실망할 정도로 빛이 퇴색해 있다. 이런 현상은 망원계 일수록 카메라와 피사체사이에 눈 입자가 빛의 투과를 방해하여 색채가 뭉개진다.
ㅇ 이런 때 눈 사진은 밝게 내려오는 빛을 찾아 진한 색의 피사체와 대비시키며 표준 또는 광각렌즈로 피사체를 근접 촬영하므로 서 눈 입자로 인한 빛의 차단을 줄여 박력 있는 눈 사진을 만들 수 있다.
ㅇ 눈이 내리는 중에 인물사진은 눈의 동감을 표현하는 셔터 속도 1/30초로하며 인물을 카메라에 근접시킨다.
ㅇ 구름이 많이 낀 날의 설경이나 눈 내리는 중의 전원은 아름답다 해도 사진은 뭉개지고 만다.
ㅇ 눈이 내리는 밝은 날 자연은 피사체에 가까이서 빛의 방향을 살펴 특징 있는 주제를 촬영하고 하늘을 나오지 않도록 하면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
ㅇ 눈오는 날의 노출은 노출계 지시대로 촬영하면 되고 TTL내장 카메라는 + 0.5 step 보정 하면 된다. 빛이 밝아 하이키 할 경우는 + 2 ~ 3 step 보정 한다.